여성들은 생리 전 냉증가로 인해 불편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혹시 내 몸에 무슨 이상이 있지는 않을까 걱정되고, 왜 이렇게 생리 전 냉증가 증상이 나타나게 될까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생리 전 냉증가 증가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냉이란?
생리전 냉증가
냉증가 예방 치료방법
냉이란?
여성의 생식기에서 나오는 질 분비물을 이르는 말로, 냉은 정상적인 질 분비물입니다. 박테리아 제거를 돕고, 월경 주기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여성은 매일 티스푼, 혹은 4ml 미만의 흰색 또는 투명한 분비물을 생성한다고 합니다. 개인의 호르몬 변화와 감염, 악성 질환 때문에 냉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생리 전 냉증가
1) 생리 전 냉증가
냉은 생리 주기에 따라 변화한다고 합니다. 배란 시 냉은 일반적으로 투명하고 신축정이 있으며 물기가 있습니다. 배란 전에 보통 더 많은 분비물이 나오며 평소의 30배 까지도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보통 이 증상 때문에 생리 전 냉증가 증상이 나타나는 듯합니다. 배란 후에도 냉이 분비되게 되는데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높으면 분비물이 하얗게 보이고 최대 2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배란 시 보다 더 끈적거리지만 양은 더 적습니다. 생리 직전의 냉은 약간 노란색을 띤 흰색일 수 있습니다. 생리 후에도 약간의 갈색 분비물이 있을 수 있으며, 3~4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생리 전 냉증가 증상은 배란기에 특히 증가하고 월경 전 후에 많이 나타나곤 합니다. 분비물의 증가는 임신과 관련이 깊을 수 있는데, 임신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만들기 위한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하지만, 가려움증, 분비물 증가, 시큼한 냄새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질염일 수 있으니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질염 냉증가 냉 분비물
생리 전 냉증가가 아닌 평소에 냉 분비물이 많이 나오 신는 분들은 질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세균성 질염의 경우 질 분비물은 누런 색이나 회색을 띠고 생선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받고 치료를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트리코모나스 감염에 의한 질 분비물은 양이 매우 많고 악취가 나며 종종 외음부 가려움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초록색을 띠거나 연두색처럼 푸르스름한 빛을 띠게 되면 성병의 일종입니다. 이는 성관계를 통한 감염으로 배우자와 함께 치료해야 개선이 됩니다.
칸디다 감염증의 경우 질 분비물이 흰색을 띠고 질 주위가 가렵거나 따가운 증상이 동반됩니다. 분비물의 색이 하얀색이라면 진균에 면력력이 떨어져 나타나는 증상으로 여성의 70%가 걸린 경험이 있고 감기 같은 질염이라고 합니다.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면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몸 관리, 건강관리에 신경 쓰고 병원에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빨간색 또는 갈색을 띠는 냉은 생리 직전이나 직후에 나올 수 있는 냉입니다. 하지만 주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착상혈일 수도 있고, 스트레스나 과로에 의한 부정출혈, 감염 일 수 있으니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냉증가 예방 치료법
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냉증가 예방 치료법으로는 언제나 깨끗한 위생상태를 유지하고, 통기성이 좋은 면 속옷을 착용하고, 너무 꽉끼는 스키니진이나 레깅스, 스타킹은 피하고 여유로운 옷을 입는 것이 좋다. 생식기 부위를 습하게 하면 감염의 위험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배란 중과 같이 생리 전 냉증가 증상이 나타날 경우 팬티라이너를 통해 생활을 불편함을 줄이고, 대신 자주 갈아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볼일을 본 후에는 항문에서 질로 세균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항상 앞에서 뒤로 닦는 것이 좋다. 또한 청결을 신경 쓴다고 오히려 너무 향이 나는 물티슈나 거품목욕 제품들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니 성분을 보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프로바이오틱스, 여성건강에 좋은 질 유산균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건강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상 원인 치료 (0) | 2024.02.21 |
---|---|
관계후 배묵직, 관계후 선혈 왜? 증상과 이유 알아보기 (0) | 2022.01.29 |
장폐색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0) | 2022.01.22 |
장꼬임 증상 장이 꼬이는 느낌 원인 예방하기 (0) | 2022.01.21 |
한쪽귀가 먹먹한 증상 원인 이유 (0) | 2022.01.19 |